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97 홍콩 Wellcome(惠康) 마트에서 장보기 (feat. vivino 와인 어플 사용기) 저녁을 먹고 산책 겸 장보러 나갔다. 근처에 Wellcome이라는 마트가 있다. 매장의 규모는 작지만 홍콩에 많이 있는 마트인 듯하다. 과일 및 라면을 조금 사야겠다. 마트 앞에 특이하게 생긴 개를 데리고 장을 보러 나온 사람이 서있다. 마트에 들어가자 마자 보이는 과일 코너에 '한국산'이라고 쓰인 딸기가 있다. 한국어가 쓰여있는 것이 낯설지 않다. 마트 곳곳에서 한국 제품을 볼 수 있어 신기하다. 애초에 사기로 했던 바나나만 산다. 식빵도 필요하다. 급하게 아침을 먹거나 라면이나 완탕면을 먹을 때 한 장씩 먹으면 뭔가 균형이 맞다. 다양한 종류의 초콜렛과 과자가 있다. 두부를 하나 샀다. 예전에 어떤 교수가 자기 유학시절(80년대)에 두부만 먹으며 공부했었다며 라떼를 떨었건 기억이 갑자기 스친다. 물론.. 2020. 12. 26. 홍콩 센트럴: 쌀국수 집(小雨天) + 란펑유엔(LAN FONG YUEN) 홍콩에 와서 많이 먹은 음식 중 하나가 바로 누들(noodle)이다. 완탕면이 대표적인 누들 음식 중 하나이다. 이에 못지않게 자주 보는 것이 쌀국이다. 쌀국수는 베트남식이 아니라.. 이걸 탄탄면 광둥식이라고 해야 하나 면이 우동처럼 (우동 보다는 얇다) 동그랗고 매끄러워 먹기가 아주 좋다. 다양한 토핑과 소스와 함께 먹으면 심심하지 않게 끼니를 때울 수 있어 아주 좋다. 아래 사진은 구내식당에서 나오는 쌀국수이다. 유부, 청경채, 콩나물, 어묵 등등 다양한 토핑과 위에 언는 sour spicy 소스가 잘 어울리는 국수이다. 돈가스 한 장을 포함해 40홍딸 (약 6천 원) 밖에 하지 않는다. 국물이 느끼하지 않고 부드러워 한국인의 입맛에도 딱 맞는다. 딱히 느끼한 재료는 없지만 중국식 미니 배추인 청경채.. 2020. 12. 25. 아이폰에서 구글 픽셀폰으로 갈아타기 (feat. pixel 4a 케이스) Pixel 4a 투명 케이스 구글폰은 사용자가 많지 않아서인지 케이스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미국의 아마존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스가 있는 것 같지만, 홍콩이나 한국처럼 정발되지 않는 나라에서 마음에 드는 케이스는커녕 케이스 자체를 찾기 쉽지 않다.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기본적인 투명 케이스와 메탈 케이스가 있었지만, 메탈은 촌스러워 투명 케이스를 주문했고, 4일 만에 받았다. 배송비를 포함해 137HKD(약 19,000원) 들었다. ESR이라는 뭔가 이국적인 느낌의 브랜드이지만 배송 경로를 보니 중국 선전발이었다. 어찌되었건 케이스가 없어 쓰면서 불안했는데 이제는 마음 편하게 쓸 수 있게 되었다. 케이스를 끼우니 손과 마찰이 생겨 그립감이 좋아졌다. 핸드폰을 놓칠 것 같은 걱정을 덜었다. 완.. 2020. 12. 25. 일상으로 접어든 홍콩 풍경 (feat. 서브웨이의 추억 소환) 홍콩으로 온 지 19일 정도 되었다. 3주가 약간 못된 것이다. 어느덧 격리도 끝나고 회사 근처에 새로운 숙소도 잡고 출근을 시작했다. 그리고 이틀째되는 날, 앞으로 이런 루틴의 일상이 될 것 같아 아침부터 그 풍경을 담아보았다. 일단 호텔에서 묵고 있다. 홍콩도 코로나로 관광이 거의 마비되다시피 하면서 호텔들은 격리자를 유치한다거나 아니면 장기 투숙에 대한 할인을 하며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생존을 모색하고 있다. 그 결과 월세를 구하는 것보다 호텔에서 묵는 것이 더 이득인 진귀한 상황이 연출되었고, 팔자에도 없는 나의 호텔 투숙도 그런 연출 속에서 성사되었다. 그리고 이미 많은 직원들이 회사 근처 호텔에서 머물고 있다는 것도 듣게 되었다. 대부분 중국인들인 것이다. 코로나 전에는 홍콩으로 통근을 하던 .. 2020. 12. 22.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75 다음 728x90 반응형